
이토 히로부미의 글씨가 담긴 머릿돌의 처리 방식을 검토하는 한국은행이 향후 친일화가가 그린 화폐 속 위인 영정도 바꿀 전망이다.
10일 한은에 따르면 화폐 도안의 위인 초상에 대한 정부의 표준영정 지정이 해제될 경우 도안 변경을 검토할 계획이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 등 화폐에 담긴 영정을 그린 작가들의 친일 행적 때문이다.
현용 화폐 중 100원화의 이순신, 5000원권의 율곡 이이, 1만원권의 세종대왕, 5만원권의 신사임당 속 정부 표준영정의 작가들은 모두 지난 2009년 대통령 직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로부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됐다. 각각 이순신 영정은 장우성 화백, 이이와 신사임당 영정은 김은호 화백, 세종대왕 영정은 김기창 화백이다.
가장 먼저 겉면이 바뀔 것으로 보이는 화폐는 100원 동전의 이순신 장군이다. 충무공 영정이 새겨진 100원 동전은 지난 1983년부터 사용됐다.
100원 표준영정은 현충사관리소에서 지정해제를 신청하면서 문체부 영정동상심의위원회에서 해제 심의 중으로, 조만간 결론이 날 전망이다. 앞서 장 화백이 그린 유관순 열사 영정은 1978년 표준영정이 됐다가 해제됐다.
5000원권, 1만원권, 5만원권 등은 현재까지 표준영정 지정 해제 신청이 접수되지 않아 당장 정해진 것은 없다. 다만 박양우 문체부 장관이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친일논란이 있는 화가가 그린 영정 13위를 소유주 신청 없이도 문체부가 지정해제할 수 있는지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